고양이가 새들을 멸종시킨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청소녀
작성일

본문


길고양이 문제로 떠들썩한 글이 하나 보여 적어봅니다.

정말 고양이가 새와 생태계 파괴의 주범인가?

바르게 알아보자는 취지입니다



올해로 100주년을 맞이한 국제 조류보호협회 '버드라이프인터내셔널(Birdlife International)'이 최근 2022 세계조류현황보고서를 발행했습니다.



https://www.birdlife.org/news/2022/09/28/state-of-the-worlds-birds-2022-paints-most-concerning-picture-for-nature-yet/

요거 찾아보고 있었는데 무려 디씨 조류갤에 잘 정리된 글이 하나 있더군요

그래서 퍼왔습니다


보고서에는 지구상의 조류 가운데 49%의 종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담겼습니다.

한국과 인접한 국가인 일본의 경우 산림에 서식하는 조류 중 94%의 종이 개체수가 감소중이라고 합니다.



멸종된 조류는 해가 갈수록 그 종의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IUCN Red List에 기록된 조류 가운데 231종은 현재 전멸 직전까지 간 상황입니다.




지구상의 조류 가운데 8종 중 1종 꼴로 멸종 위기를 겪고 있으며, 대부분의 원인은 인간의 활동 때문이었습니다.




조류를 멸종 위기에 처하게 만든 원인은 농업으로 인한 환경파괴,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 외래종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 수질오염, 토양오염, 밀렵과 사냥 등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가장 큰 문제요인으로 지목된 농업과 축산업, 벌목 행위는 멸종 위기에 처한 조류 중 73%의 종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벌목도 빼놓을 수 없죠. 산림은 많은 새들의 삶의 터전이 되는데, 임산물을 얻기 위해 매년 7백만 헥타르의 숲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침입외래종으로 인한 피해도 상당한데, 멸종된 조류 중 46%는 침입외래종에게 피해를 입었습니다.

(드디어 나왔습니다.)


가장 많은 피해를 준 외래종으로는 쥐가 꼽혔으며, 섬이 아닌 환경에서는 고양이가 조류에게 가장 많은 피해를 입힌 외래종으로 조사되었습니다.

(그런데 1등이 고양이가 아닌 쥐요?  요건 상당히 의외의 조사결과로군요. 흥미롭습니다.)


중국에서는 매년 26억 9천만에서 55억 2천만 마리의 새가,

미국에서는 매년 13억에서 40억 마리의 새가,

캐나다에서는 매년 1억에서 3억 5천만 마리의 새가,

호주에서는 매년 3억 7천 7백만 마리의 새가,

폴란드에서는 매년 1억 3천 6백만 마리의 새가

고양이에 의해 목숨을 잃습니다.



새를 가벼이 여기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지구상의 조류 중 45%의 종은 인간에게 포획됩니다.



어업으로 인한 환경파괴는 바다새들에게 치명적입니다. 바다새들은 가장 심각한 위기에 처한 조류 집단 중 하나로, 30%의 종이 멸종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는 생태계 문제 어디에도 빼놓을 수 없는 문제입니다.

지구의 온도가 3도 오른다면 2100년까지 미국 내 97%의 조류가 두 종류 이상의 기후 관련 위협을 겪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지구의 기온이 점차 올라가면서 이미 해발 고도가 높은 곳에서만 서식하는 조류들은 개체수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관련자료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