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포 100발 쐈지만 무용지물…7시간 농락당한 한반도 방공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니팔뚝
작성일

본문

북한이 26일 무인기로 한국 영공을 침범하며 9·19 남북군사합의 이후 쓰지 않았던 도발 수단을 다시 꺼내 들었다. 이는 북한이 최근 9·19 남북군사합의상 해상완충구역에 여러 차례 포병 사격을 실시한 것과 같은 흐름의 움직임으로 보인다. 한미를 자극해 합의를 무력화시키려는 동시에 대북 감시·정찰태세를 시험해 보려는 다목적 도발 카드인 셈이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북한이 이번 무인기 도발을 통해 남북 간 군사합의를 무력화해 보겠다는 의도는 분명해 보인다"면서 "북측이 향후 전방지역에서 촬영된 사진을 공개할 가능성도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이날 북한이 군사분계선(MDL) 밑으로 내려보낸 무인기는 한국군의 대비태세를 시험하듯 김포·파주 일대는 물론 서울 북부 상공까지 휘저으며 날아다녔다. 군은 공군 전투기와 공격헬기를 다수 출동시켜 '고작 2m짜리' 북측 무인기의 뒤를 쫓았지만 결국 아무런 성과를 내지 못했다 .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이날 군은 북측 무인기가 오전 10시 25분쯤 경기도 김포 북쪽 MDL을 넘기 전부터 항적을 포착했다. 이어 절차에 따라 경고방송과 경고사격을 실시했다. 군은 오전부터 KA-1 공격기와 공격헬기를 다수 띄워 맞대응에 나섰지만, 오후에 인천 강화군 교동도 서쪽에서 20㎜ 기관포 100여 발을 발사한 것 외에는 격추를 위해 특별한 공격을 가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명백하게 한국 영공을 침범하며 정전협정을 위반하는 등 사실상 침략 행위를 했지만, 군은 결과적으로 이 같은 북측의 불법적 행위를 7시간 넘도록 억제하지 못했다. 결국 이날 MDL을 넘어온 무인기 5대 가운데 1대는 북측으로 복귀했고, 4대는 탐지 레이더에서 사라지며 자취를 감췄다. 이에 따라 해당 무인기가 어떤 정보를 수집했는지도 파악하기 어렵게 됐다. 결국 이날 북측 무인기를 놓친 군은 무인 정찰자산을 MDL 이북으로 보내 상응 조치를 하고 적 주요 군사시설을 촬영하는 등 보복성 조치를 취했다. (후략)

(매일경제/ 김성훈)


▶ 선제타격 한다면서...

    안보, 국방, 외교, 경제, 사회 전부 처참한 수준이네,,,매춘언론은 입 다물고 있고,,,

관련자료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