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외교부 '중국 전담국' 통폐합 검토…'中 소홀' 신호 우려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블핑
작성일

본문

원문▷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315706?sid=100




외교부가 대중(對中) 외교 강화를 위해 중국 전담 조직으로 개편했던 동북아시아국을 사실상 통폐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동북아국을 일본을 담당하는 아시아태평양국과 합쳐 과거처럼 일본·중국 업무를 하나의 국에서 담당하는 방안이다.



현재 중국 및 몽골 관련 외교 현안을 다루는 동북아국의 업무 분장은 2019년 4월 외교부의 조직 개편에서 확정됐다.


당시 외교부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관련 조직을 기존 2국(동북아국, 남아태국)에서 3국(동북아국, 아태국, 아세안국)으로 확대 개편했다. 이전까지 동북아국은 일본과 중국 업무를 함께 맡고 있었는데, 여기서 일본 업무를 아태국으로 분리시키고 동북아국을 사실상 '중국국(局)'으로 탈바꿈시키는 조치였다.


앞서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 인수위원회 성격인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차원에서 '중국 전담국' 신설을 검토했고, 인력·예산 등 문제가 해결되자 2년만에 실제 개편이 실현된 셈이었다.


당시 외교부 당국자는 "중국과 일본 업무를 별도의 국으로 분리하고 미·중·일·러를 모두 별도의 국에서 담당하게 돼 4강 외교 역량이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생략}


일각에선 동북아국을 4년 만에 통폐합하는 것 자체가 '한국이 대중 외교에 상대적으로 소홀해진 것 아니냐'는 시그널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안 그래도 최근 윤 대통령을 비롯해 정부 고위 당국자가 공식 석상에서 중국보다 일본을 먼저 호명하며 의미를 부여하는 등 메시지 발신이 정교하지 못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강준영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교수는 "동북아국 출범 이듬해인 2020년부터 코로나19 봉쇄로 대중 외교가 제대로 돌아가지 못했고, 지난해 윤석열 정부 출범 후에도 한ㆍ미ㆍ일 협력 중심으로 대외 정책을 펼쳐온 측면이 있다"며 "그간 돌아보지 못했던 중국과 관계를 강화해야 하는 시점에 외교부의 중국 전담 조직이 개편된다면 중국에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또한 현재 아태국은 일본 외에도 최근 지정학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인도, 호주 등 국가를 담당하고 있는데, 중국 업무까지 아태국으로 합쳐질 경우, 이들 국가에 쏟는 외교력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동북아국이 실제 통폐합 수순을 밟으면 외교부 내 '차이나 스쿨'의 입지는 더욱 줄어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중국 내 공관 근무만 하더라도 최근 몇 년간 코로나19의 여파, 당국의 과도한 통제와 검열, 미세 먼지로 악화된 물리적 근무 환경 때문에 외교부 직원들이 기피하는 경향이 짙었다.


중국 베이징의 주중한국대사관은 2019년에 이미 근무 등급이 '가급'에서 '나급'으로 조정됐고, 인사국 차원에서 중국 근무·연수 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당근책'을 강구하고 있지만, 상황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다는 지적이다.




댓글▷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comment/025/0003315706?sid=100




족발국의 뜻일 듯...기시다의 시다바리다웁다.




관련자료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