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이 주면 과태료' vs '불임모이 주자'…비둘쥐 닭둘기 감소법 논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꼬맹이
작성일

본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7/0001800298?sid=102







야생생물법 개정으로 비둘기 등 유해야생동물에게 먹이를 주는 행위에 대해

최대 백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실제 시행에 있어서는 조례에 위임하고 있어 각 지자체의 조례 제정이 필요합니다만,

늦게나마 이런 무책임한 피딩 행위에 대한 강제력 규정이 생긴 것을 환영합니다.

 


물론 그동안 이런 밥주는 행위, 책임없는 즐거움을 누리던 사람들이 가만히 있지는 않죠.

자생하는 야생동물에게 인위적으로 먹이를 주는 행위를 막는 걸 '아사법'이라고 표현하는 건 그냥 어이없을 뿐이고,

역시나 이런 먹이주기 행위를 합리화하는 데 쓰이는 전가의 보도 '중성화'를 들고 나왔습니다.. 만










https://pubmed.ncbi.nlm.nih.gov/35405845/



실제로 저 불임 사료를 적용한 사례는 그리 많지 않고,

관련 연구도 별로 없습니다.

 

기사에 나온 스페인 바르셀로나 사례 논문이 이것인데,

저 불임 사료의 정체는 니카바진이라는 가금류 구충제죠.

50년대에 이미 닭에게 산란양, 부화율, 알 크기 감소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었고,

그것을 이용해 비둘기 등 야생 조류의 개체수 조절 시도가 소수 있었습니다.

 








https://pubmed.ncbi.nlm.nih.gov/32652833/



 


 제목: 니카르바진은 바르셀로나의 야생 비둘기 개체수를 줄이는 데 효과가 없습니다



배경: 니카르바진(Nicarbazin)은 때때로 야생비둘기 개체수를 줄이기 위한 피임약으로 사용되는 항콕시듐제입니다. 그러나 도시에서 비둘기 개체수를 줄이는 효과는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여기에서는 바르셀로나 시에서의 효율성을 평가합니다.

결과: 2017년에 바르셀로나 시의회는 니카르바진을 공급하는 23개 공급 스테이션과 위약(처리되지 않은 옥수수)을 공급하는 10개 공급 스테이션을 설정했습니다. 인구조사는 처리 1년 전후에 각 공급기 주변 반경 200m 내에서 수행되었습니다. 우리는 또한 피더에서 200m 떨어진 곳에 무작위로 분포된 반경 200m의 원 28개와 대조군 역할을 하는 피더에서 500m보다 큰 28개의 원을 인구 조사했습니다. 도시 전체의 인구 규모도 치료 전후에 평가되었습니다. 우리는 니카르바진을 공급하는 급식소 주변이나 급식기에서 200m와 500m 이상 떨어진 제어실 주변 지역에서 치료 1년 후에도 야생 비둘기 밀도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위약 집단의 인구 규모는 1년 후 10% 증가했습니다. 바르셀로나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비둘기 인구조사에서는 비둘기 수가 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론: 전반적으로 우리의 결과는 니카르바진 처리가 야생 비둘기 개체수 크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나타내며 적어도 대도시에서는 비둘기 방제 방법으로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합니다. 

 

 

하지만 약제에 그런 불임 효과가 있다고 해서 통제하기 힘든 현실 환경에서도 그렇다는 건 아닙니다.

바르셀로나에서 55%의 개체수 감소 효과를 봤다는 논문이 참조하고 있는 이 논문은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네요.

결국 이 역시 잘 쳐줘야 논쟁적인 방법론이라는 것이고,

정부 정책으로 채택할만한 신뢰성은 없다고 보여집니다.

 

또한 환경부의 우려와 같이 실제로 효과가 있다고 해도 비둘기 외 다른 조류의 불임을 야기하는 등

생태계 교란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예기치 않은 부작용도 고려해야 하죠.

약이란 적정 용량을 사용하지 않으면 독입니다.

니카바진의 과다 투여는 조류의 호흡 곤란, 욕창, 폐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이런 불임, 중성화 방법론은 

어디까지나 포획, 사냥, 안락사 등을 대체하거나 보완하기 위한 것이지,

먹이주기라는 악취미를 합리화하기 위한 핑계거리가 아닙니다.

바르셀로나 사례 논문의 주장처럼 개체수를 55% 감소시킬 수 있다한들,

인위적인 먹이 공급으로 수십, 수백배로 늘려버리면 그게 다 무슨 소용일까요.

 

 

 

 








https://www.dailyvet.co.kr/news/policy/191730




 

사실 우리나라는 이미 이런 중성화 방법론의 처절한 실패를 겪고 있습니다.

2007년 서울시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TNR) 시행 이래 

유행처럼 각 지자체에 번지더니

급기야 2016년에는 중앙정부차원에서 세금 들여 시행하기에 이릅니다.

 

문제는 이 역시 개체수 조절에 효과가 없고 고양이만 수술과 후유증으로 고통받게 할 뿐이라는 거죠.

고양이의 개체수를 줄이려면 연간중성화율 75% 이상이 필요하다는 Andersen 등의 2004년 연구 이래

중성화로 야생 고양이의 개체수를 줄일 수 없다는 건 당연시되어왔습니다.

그래서 중앙정부가 세금 투입해가면서 시행하는 나라는 우리나라밖에 없다고 할 정도죠.

 

이런 유사과학이 급식소 등 먹이주기 행위의 근거가 되고,

가짜 수술, 서류 위조 등의 형태로 

일부 수의사들과 포획업자, 캣맘, 동물단체들의 슈킹용 사업으로 전락한 지 오래입니다.

 

 

 









결국 이런 불임 사료, 중성화 정책 도입 주장은

이런 고양이 판의 상황을 다른 동물에게도 추가하자는 것밖엔 안됩니다.

인도적 목적(인지도 의문이지만..)이라기보다는 잿밥에 관심있는 경우가 많다는 거죠.

 

야생동물을 길들이고 손태우는 건 야생동물의 자생능력을 빼앗습니다.

인위적인 먹이주기는 대개 이런 문제가 있고,

또한 먹이주기로 개체수가 급증하면 과밀화로 인해 동물들을 고통스럽게 만드는 결과가 되죠.

이런 행위가 동물학대라고까지 비난받는 이유입니다.

 

그들의 이런 행태나 관련 정책을 비판하면 

흔히 나오는 반응이 동물혐오자라며 몰아가는 것인데,

참으로 적반하장이 아닐 수 없습니다.

심지어 공청회 등 공적인 자리에서조차 자신들 의견에 반대한다는 이유로 

일반 시민들을 혐오자라고 칭할 정도죠.

 

그 호칭은 그들에게 그대로 돌려주는 게 맞다고 봅니다.



관련자료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