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운임제 시행 이후, 화물차 사고는 줄었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망원렌즈
작성일

본문

 

 

현재 안전운임제 이후 차주들이 돈에 눈이 멀어 오히려 과적 과속을 일삼느라 사고가 늘었다는, 아예 틀린 정보가 돌아다니고 있습니다.

그래서 찾아봤습니다. 참조한 자료는 TAAS 교통사고 분석 시스템 홈페이지의 사고통계(http://taas.koroad.or.kr/), 한국교통연구원 홈페이지의 화물운송 동향 연간보고서(https://www.koti.re.kr/index.do)입니다.

안전운임제가 시행되기 전인 2016년, 시행연도인 2017년, 통계가 있는 전년도인 2021년을 비교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화물차 교통사고와 사망자는 감소했습니다.

 

 

 

전 차종 교통사고율 및 사망자

2016년, 2017년, 2021년

220,917(4,292) : 216,335(4,185) : 203,130(2,916)

= 사고율 8.05% 감소, 사망자 32.05% 감소


화물차 교통사고율 및 사망자

2016년, 2017년, 2021년

26,576(952) : 27,341(961) : 26,081(687)

= 사고율 1.86% 감소, 사망자 27.83% 감소

 

 

 

화물차의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적어 보이죠? 그 이유엔 도심속도제한이나 화물차 사고의 특성 등 여러가지가 있겠으나, 여기서는 아주 단편적으로만 알아봅시다.

 

 

2016년, 2017년과 2021년

항만 물동량 중 도로수송량

1593만: 1555만 : 1633만 = 2.51% 증가


화물차 등록 대수

446,701: 450,449 : 503,967 = 12.81% 증가

 

 

화물차가 13% 늘어났습니다. 차량의 절대 수가 늘어나니 사고의 절대 수도 늘어나야겠죠. 하지만 오히려 감소했네요.

화물차 대수에 반해 물류량은 2.5%밖에 증가하지 않은 와중에,

 

일 평균 근로시간

16년: 11.3~16.8
17년: 12.4~13.9

21년: 12.0

 

근로시간 또한 안타깝게도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건 위 통계들과 맞물려 과적과 과속이 줄어들었다는 신호로 봐야 옳습니다.

즉 '과적, 과속을 줄여 안전을 도모한다'는 정책 목적은 달성되었습니다.

안전운임제를 더욱 확대하여 평균 근로시간을 감소시키고, 도로위 안전을 좀더 확보해 소중한 인명을 지켜나갈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관련자료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