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애를 어떻게 쓰레기통에 버려요'…장례비용만 200만원 [슬기로운 반려생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썰녀
작성일

본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54833?sid=101






 

반려동물 장례식은 단순히 사체를 인도받아 화장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장례는 몸을 닦는 염습부터 시작된다. 단장한 반려견을 관에 안치하면 빈소가 마련되고 보호자는 추모식을 통해 마지막 인사를 한다. 이후 전용 화장로를 통해 영원한 잠에 든다. 제단엔 꽃과 영정사진, 평소 반려동물이 좋아하던 간식도 빼놓지 않는다.

기본장례비용은 체중 5kg 미만 기준 평균 20만~30만원에 달하며 체중 등에 따라 비용이 달라진다. 여기엔 개별 화장, 기본유골함, 추모, 추모 액자 등 서비스가 포함된다. 반려견의 사체가 5kg을 초과할 경우 1kg당 1만~2만원의 추가 비용을 내야 한다. 고급 유골함 등을 제공하는 VIP 장례의 경우 60만~70만원에 달하는데, 여기에 운구 서비스와 메모리얼 스톤 세트 등을 추가하면 100만원 가까이 필요하다.

심흥섭 리멤버 대표는 "많이 지불하는 고객은 150만~200만원도 쓰고, 평균적으로는 40만~50만원 정도 낸다"며 "금액대가 비싸더라도 마지막 길을 제대로 배웅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금액을 따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제목은 좀 과장이고 실제 비용은 이 정도입니다.

그렇다해도 아무래도 가는 길 좋게 보내주자는 심리도 있는 법이죠.

 



 

 

반려인 2명 중 1명 사체 처리법 몰라…장묘 시설 '님비' 우려도

반려동물을 전문 장례업체에 맡기는 경우도 많지만, 여전히 "그냥 뒷산에 묻으면 안 되는 것이냐"는 인식도 있다. 한국소비자원이 2022년 10월부터 11월 사이 최근 5년 이내 키우던 반려동물의 죽음을 경험한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41.3%(413명)는 주거지나 야산에 매장 또는 투기했다고 답했다. 반려인 2명 중 1명은 반려동물 사체 처리법을 알지 못해 잘못된 방법을 사용하는 셈이다.

하지만 주거지나 야산 등에 매장 또는 투기를 하는 건 현행 폐기물관리법상 불법에 해당한다. 생활법령정보에 따르면 반려동물이 동물병원에서 죽은 경우 의료폐기물로 분류돼 동물병원에서 자체적으로 처리되거나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운영자 등에게 위탁·처리된다. 반려동물 소유자가 원할 경우 동물병원으로부터 인도받아 동물장묘 시설에서 매장·화장 등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같은 소비자원 조사에서 반려인의 45.2%는 해당 행위가 법적 금지행위인지 모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여전히 매장은 불법인 걸 모르는 분들이 많네요.

 

동물 장례 수요는 느는 데 비해 주민 반대로 설치가 쉽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사람을 위한 장례시설도 마찬가지죠 이건. 

 

 



 

다만 "반려동물 장례식장을 공공시설로써 운영 및 위탁할 수 있게 정부나 지자체 차원에서 자리를 잡아줘야 한다고 본다"며 "현재 국내 인구의 35%가 반려동물을 양육하는데, 이제 반려동물 양육 문제는 단순한 동물 문제가 아니라 민생 문제"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반려동물은 현재 '인구 절벽 시대'에 많은 부분을 대신하고 있는데, 점차 반려인과 비반려인에 대한 갈등의 폭을 줄여나가야 할 것 같다"고 강조했다.

 


애완동물 사육 가구가 이제 35%까지 뻥튀기되었군요.

농림부, KB 등에서 인터넷 패널조사로 25-30% 정도로 조사했던 영향인 거 같은데,

2020 인구주택총조사에서 애완동물 사육 가구는 전체의 15%였으니 

거기서 크게 늘지는 않았을 겁니다.

농림부는 통계청장에게 대놓고 핀잔들을 정도로 숫자 세는 데는 재능이 없어요. 

(길고양이 개체수도 그렇고..)

 

동물 장묘시설을 공공시설로 해야 한다는 주장은 동의하기 어렵고(민생문제라는 건 더더욱..), 

이를 '반려인'과 '비반려인'의 갈등으로 보는 건 더더욱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자기 집 옆에 동물 장묘시설이 들어오는 건 사육 여부 관계없이 반대할텐데요. 


어쨌든 늘어나는 동물 장례 수요에 맞게 장묘시설이 확충될 좋은 해법 나오기를 기대합니다.

공공시설은 에바지만 지자체가 인허가나 주민 설득에 도움을 주는 정도는 적절한 역할이라고 봅니다.

 

 

p.s. 그나저나 '반려인'도 그렇지만 '비반려인'이라는 단어는 정말..

조어법도 그렇고 '반려동물'이라는 어설픈 일본어 중역 단어의 폐해가 여기까지 왔나 싶네요. 

 


관련자료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