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회담>이 군사독재시절 용어였군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코샤샤
작성일

본문




  • 흔히 영수회담이라고 쓰는데 옷깃(領)과 소매(袖)가 만난다는 말이다. 문재인 정부 시절 박수현(당시 청와대 대변인)이 “독재 시절 쓰던 말이니 ‘여야 대표 초청 회담’이라고 하자”고 제안했지만 다시 살아났다.


................................


"청와대가 대통령과 여야 대표의 만남을 '영수회담'이라고 부르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권위주의적인 독재정권 시절에 통용되던 용어여서 문재인정부의 '정치 용어'로 적절치 않다고 했다. 청와대는 19일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대표의 회동을 준비하고 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17일 춘추관 브리핑 도중 '19일 회동'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정해져 있는 건 아닌데, 영수회담은 과거 독재정권 시절에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가 단 둘이 만나 정국의 꼬인 부분을 푸는 (마지막 담판 성격의) 자리였다. 지금은 그런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지금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회동하는 건 그 시대의 영수회담과 성격이 다르다"며 "역사적, 관습적 의미의 영수회담처럼 담판을 하거나 정치적 해법을 논의하는 자리가 아니라 '여야 대표 초청 회동' 정도의 표현이 적합한 만남"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영수회담이란 표현은 안 쓰는 게 좋겠다는 것이 제 생각"이라고 했다. "그럼 뭐라고 하면 좋겠느냐"는 추가 질문에 "여야 대표 초청 회담"이라고 반복해 말했다.

'영수회담(領袖會談)'은 국가나 정치단체 또는 사회 조직의 최고 수장들이 만나 의견을 나누는 것을 말한다. '영수'는 본래 의복 용어였다. 영(領)은 '목'을 뜻하는 말로 의복에서 목에 해당하는 옷깃을, 수(袖)는 옷소매를 가리킨다. 모두 옷의 가장자리로 쉽게 닳는 부위여서 과거엔 옷깃과 소매에 검은색이나 짙은 색의 천을 둘렀다. 자연히 '영수'는 옷에서 눈에 가장 잘 띄는 부분이었고, 이는 어떤 집단에서 두드러진 대표적 인물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게 됐다. 정부를 대표하는 지도자와 야당을 대표하는 지도자의 만남은 이런 변천 과정을 거쳐 '영수회담'이라 불리게 된 것이다.

한국 정치에서 '영수회담'이란 말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박정희 정권 때부터였다. 박정희 대통령은 당시 신민당 김영삼 총재와 비공개 영수회담을 갖곤 했고, 이를 통해 중요한 정치적 결과물이 도출되곤 했다. 독재 정권 이후에도 '영수회담'이라는 말은 관습적으로 굳어져 최근까지 대통령과 야당 대표의 회담이 있을 때마다 사용됐다.

생략"


[출처] - 국민일보

................................


2001년 기사긴 하지만,

이인제 전 의원의 말을 참고하면요.


군사독재 시절엔 의회정치가 제약받았기 때문에 

영수회담을 통해 주고받기식으로 돌파구를 마련하고 국정현안을 타결하는 게 관행이었으나 

지금은 민주주의가 정착됐고 의회주의에 대한 제약요인이 사라진 만큼 의회내에서 갈등과 대립을 융해·해결해야 한다.'


................................


# 영수회담 대신 <여야 대표 초청 회담>

관련자료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