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관선거 안부러운 청년정치.JPG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슬낭자
작성일

본문


3줄 요약:

민주당 대학생위원회가 청년 대변인 선발 주최.

대학생위원장 근황 : 김남국 기자회견, 대의원 폐지 반대.

국민들이 참여하면 결과가 달라질까봐 투표권 안주기로.







더불어민주당이 국민·당원 투표 대신 전문가 평가로 청년대변인인 ‘더블루 스피커’를 선발한다. 강성 지지층의 참여로 인해 왜곡된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15일 서울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민주당은 이날 청년대변인 결선에 올라갈 8명을 확정했다. 이들 중 21일 유튜브 공개토론을 거쳐 최종 선발된 2명이 당 대변인과 상근부대변인을 맡게 된다. 다만 심사 과정에서 국민·당원 투표는 진행되지 않는다. 강성 지지층이 ‘문자폭탄’을 보내는 등 당 내 ‘팬덤 정치’에 대한 문제가 계속해서 제기되는 상황이 영향을 미쳤다. 심사에 참여하는 한 관계자는 “강성 지지층 문제로 당 내 성토가 쏟아지는 상황 아니냐”며 “표에서 왜곡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국민·당원투표는 진행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강성 지지층이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예시로는 민주당 청원게시판이 있다. 친명계는 옹호하고, 비명계는 비난하는 내용의 청원이 대다수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도 ‘정청래 의원의 행정안전위원장 내정을 간곡히 부탁드린다’, ‘김용민 의원이 진행하는 검사 탄핵 발의안에 힘을 실어주자’는 등의 글이 청원 1, 2위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설훈·이상민·이원욱 의원 등 비명계 의원들을 겨냥해서는 징계나 출당, 사퇴를 요구하는 청원이 여러 건 게시된 상태다.


결선에서의 심사단은 외부 인사, 지도부 현역 의원, 대변인 등을 포함해 총 8명으로 꾸려질 예정이다. 이들이 평가와 최종 선출을 맡게 된다. 이재명 대표의 팬카페 ‘재명이네 마을’에서는 이미 “양소영 대학생위원장이 심사위원에 포함됐다”는 비난 여론도 제기됐다. 앞서 양 위원장은 김남국 의원의 ‘코인 사태’를 비판하며 당의 혁신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한 뒤 강성 지지층의 문자폭탄을 받은 바 있다.

(후략)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9QV5UC3BP



[당내 혁신의 가장 우선순위는 대의원제 폐지가 아닙니다]

한 달 전 전국대학생위원회는 당내 혁신 촉구 기자회견을 진행했습니다. 2030 청년세대가 더 이상 민주당을 떠나지 않도록 막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기자회견 이후 수많은 사람들에게 무차별적인 비난을 받았습니다. 전국대학생위원회가 외친 목소리는 내부총질로 폄하되었습니다.

함께 목소리를 낸 시·도당 대학생위원장들은

여전히 지역 당원들의 비난 대상으로 낙인이 찍혀 있습니다.

당내 민주주의가 실종된 것을 직접 경험한 시간이었습니다.

다양한 목소리는 내부총질로 규정되고, 동료라는 말은 ‘수박’이라는 멸칭으로 변모했습니다.

혁신과는 동떨어진 ‘대의원제 폐지’를 외쳐야만 비난받지 않습니다.

대의원제 폐지가 대단한 혁신인 것처럼 외치지만, 국회의원 선거를 치루기도 전에 당권싸움에 매몰된 것으로 보입니다.

자기 편을 지키기 위해서는 잘못도 정의로 둔갑해버립니다.

옳은 말을 하더라도 우리 편이 아니라면 틀린 말이라고 합니다.

현재의 더불어민주당은 올바른 목소리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다른 의견을 수용하고 관용하는 문화는 사라진 지 오래입니다.

그러는 사이 한쪽으로 경도된 목소리가 당을 지배하고,

특정 정치인들은 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당내 민주주의를 회복하지 못한다면, 더불어민주당의 혁신은 한 발자국도 나아갈 수 없습니다.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정당으로 변화하지 못할 것입니다. 윤리의식이 부족한 인사에 대해 엄격한 조치를 취하지도 못할 것입니다.

다른 목소리를 내는 순간 ‘내부총질’, ‘수박’ 소리를 들으며 문자폭탄과 댓글 테러에 시달릴 것이기 때문입니다.

지도부에게 요청드립니다. 다양성을 훼손하고 분열을 추동하는 행태를 단호하게 끊어내는 데에 힘써 주십시오. 새롭게 구성될 혁신기구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정당 내 민주주의 회복이어야 합니다. 보다 다양한 구성원들이 혁신기구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합니다.

특정 정치인과 계파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 더불어민주당에게 부족한 점을 허심탄회하게 토로할 수 있는 혁신기구가 되어야 합니다.

동지를 ‘수박’이라고 멸칭하는 인사들은 혁신기구에서 배제되어야 합니다. 국민들의 관심사가 아닌 ‘대의원제 폐지’는 혁신기구의 주요 의제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출처] https://www.facebook.com/yangsoyoung93



1차 심사 결과부터 이상하다는 의혹들

https://twitter.com/korea_gookmin/status/1667788559036878851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leejaemyung&no=1134808



<기득권의 손에 청년의 목소리가 달렸다. - 민주당 청년대변인 선발, ‘개딸 우려’에 당원·국민투표 취소?>

기득권 손에 청년의 목소리가 달렸다. 더불어민주당이 청년대변인 ‘더블루 스피커’ 선발 과정에서 당원·국민 투표를 진행하지 않기로 했다. 강성 지지층의 참여 탓에 왜곡된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대신 당 내 국회의원, 외부 인사, 대변인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최종 심사를 맡기로 했다.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그는’ 것과 다를 바 없다. 강성 지지층 뒤에 숨어 일반 당원과 최소한의 소통을 하는 것조차도 외면하고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당 내에 소수자로 가려져 있던 청년 당원의 목소리를 담아내기 위해 ‘청년 대변인’ 선발을 시작한 것 아닌가. 청년 당원들이 버젓이 민주당에 있는데, 정작 심사를 청년이 아닌 당 내 국회의원, 외부 인사, 대변인이 맡는다는 것을 어느 당원이 이해할 수 있겠는가?

사실, 더블루스피커 선발 과정을 향한 당원의 우려는 1차 선발 당시부터 존재했다. 지난 1차 선발 과정에서 모 지원자가 타 지원자의 논평을 그대로 표절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표절을 자행한 모 지원자는 합격하고, 원작자인 타 지원자는 탈락하게 되었다. 표절 등과 같은 기본적인 심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의심이 드는 지점이다.

또 다른 지원자는 “저는 더불어민주당을 대변하고 싶은 생각이 없습니다.”라는 지원 영상을 올려 당원에게 큰 반발을 일으켰다. 그러나 이 지원자 또한 1차 선발에 합격하였다. 당의 대변인을 뽑는 선발 과정에서 “당을 대변하지 않겠다”는 인물을 선발하였다는 점에서, 심사 기준에 대한 우려와 의심이 들 수밖에 없다.

이런 일련의 과정에 대한 당원들의 질문에 주최 집단인 더불어민주당 전국대학생위원회는 “민주당 청년국에 전달하겠다”는 입장만 반복하고 있으며, 민주당 청년국 관계자는 “선발기준 공개 등에 대한 계획은 없다.”, “당원 투표는 원래 계획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 전국대학생위원회는 당원을 향한 지속적인 외면을 계속해 왔다. 지난 5월 12일, 일부 시·도당 대학생위원장의 명의를 도용한 기자회견을 개최한 것을 넘어, 더블루스피커 선발에서의 ‘국민 투표 취소’까지 노골적으로 당원과의 소통을 거부하고 있다. 전국대학생위원회는 이 모든 사안의 책임자임에도 “당에 맡기겠다”, “청년국에 전달하겠다”는 태도를 고수하며 당원의 질문에 회피하고 있다.

우리는 묻지 않을 수 없다. 청년의 목소리를 일부 기득권 인사들에게 맡길 수 있는가? 최소한 청년의 목소리는 청년이 직접 선택할 수 있어야 함이 옳다. 청년대변인 도입 취지가 무색하게 선발 과정을 개악해서는 안 된다.

당 활동에 참여 의지가 분명한 당원을 ‘개딸’이라는 악의적 프레임에 가두어선 안된다. 최소한 청년 당원 전체의 투표를 보장하여 당원이 직접 자신의 목소리를 대변할 지원자를 선발할 수 있도록 만들고, 더 나아가 심사위원에 일반 청년 당원도 포함하여 더 폭넓은 심사가 가능토록 조정하여야 한다.

2023년 6월 16일 

전대위 쇄신을 요구하는 대학생·청년 512인 권리당원

관련자료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