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언론들, 쿠팡 찬사: "무책임한 문재인 정권과 민주당은 쿠팡을 보고 반성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망원렌즈
작성일

본문


'쿠팡 100조 대박'이 던진 메시지, 정부 직시해야



미국 뉴욕증시에 전격 입성해 초대박을 터뜨린 쿠팡 스토리는 많은 시사점을 던진다.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은 미 CNBC 인터뷰에서 “한국인의 창의성이 만든 믿을 수 없는 이야기의 일부가 돼 너무 흥분된다”고 했다. ‘상장 대박’ 일성으로 김 의장이 창의성을 강조하고 나선 대목은 기업가의 야성과 도전정신이 여전히 한국 경제 최대 자산임을 일깨워준다.


창사 이래 10년간 적자만 내온 쿠팡이 유가증권시장 유통업종 65개사의 시총 합계(73조원)보다 더 큰 100조원 가치를 인정받자 거품 논란도 적지 않다. 하지만 논란과 무관하게 ‘세계경제의 중심’에서는 ‘로켓배송’이라는 파괴적 혁신에 더 주목했다는 점이 주는 메시지가 묵직하다. 


“적자도 계획적인 투자의 일환으로 봐달라”며 ‘상거래의 미래’를 말하는 김 의장에 대한 공감이 크다는 것이 확인됐다. 김 의장이 “앞으로도 장기가치 창출에 전념할 것”이라고 다짐한 것도 인상적이다. 


단기성과를 요구하는 투기펀드와 불순한 일부 시민단체의 공격 에 휘둘리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소홀히 하는 경우를 수없이 봐온 터여서다.


무엇보다 규제당국의 반성이 절실하다. 


정부는 로켓배송을 둘러싼 쿠팡과 택배업계의 갈등이 불거졌을 때 아무 조정 역할도 하지 못했다. 


쿠팡은 ‘자기 고객에게 배송할 때는 화물차 허가가 필요없다’는 법원 판결을 받아 로켓배송을 지켜냈지만 갈등은 잠복 중이다. 


신산업과 기존 산업 충돌 시 눈치보기로 일관하는 정부의 ‘무책임 DNA’ 가 변하지 않는다면 4차 산업혁명은커녕 어떤 신산업도 태동하기 힘들 것이다.


쿠팡은 빠르게 변화하고 융합하는 미래 산업 트렌드의 최일선에 서 있다. “우리는 유통이 아니라 IT기업”이라며 업의 본질을 재정의할 만큼, 쿠팡은 혁신 DNA로 무장하고 글로벌 유통공룡 아마존과 알리바바의 협공을 막아냈다.


상장 및 기업지배구조 제도 선진화도 시급하다. 김 의장은 “차등의결권을 활용할 수 있는 점이 뉴욕행에 영향을 끼쳤다”고 확인했다. 


충분한 견제장치가 있는데도 차등의결권만 나오면 오너의 전횡과 경영권 불법 승계수단이라며 거품부터 무는 정치권 이 답해야 한다. 


국내 스타트업들 사이에선 뉴욕 직상장 바람까지 불 조짐이다. 


진정 일자리와 경제를 생각하는 정부·여당이라면 ‘쿠팡 대박’의 메시지를 직시 해야 한다.















쿠팡 검머외 대표: "한국인은 그냥 스마트 하지도 않고 정직하지도 않은 민족"

















쿠팡    기업 지배 구조




금융감독원 전자 공시 시스템의 쿠팡에 대한 감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에서 영업활동 중인 쿠팡(주)는 미국 델라웨어 주에 소재지를 둔 모기업 쿠팡엘엘씨 (Coupang, LLC)가 100%의 지분을 갖고 있다. 


그리고 쿠팡 엘엘씨(Coupang, LLC)의 최대 주주는 일본 소프트뱅크 비전펀드(Vision Fund)이다.


비전펀드는 일본계 자금이 대부분이므로 실질적 소유주란 측면에서   일본기업   이며 주로 한국에서 사업하는 일본 기업이 투자한 미국에 본사를 둔 기업이라고 보는 게 가장 정확하다.






언론과 보수세력이 쿠팡 찬양하는 이유: 롯데처럼 친일 검머외 일본기업이라서.


모두가 알게 추천 ㄱㄱ




관련자료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