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2반란군 맞서다 숨진 병장, 43년 만에 '전사' 인정.gisa

페이지 정보

작성자 카드캡터
작성일

본문

전두환 신군부의 12·12 반란 당시 반란군과 대치하다 목숨을 잃은 국군 병장이 43년 만에 전사자로 인정받았다. 



12일 동신고등학교 동창회 등에 따르면, 동신고 7회 졸업생인 고(故) 정선엽(당시 23세) 병장의 가족은 지난 7일 국방부로부터 정 병장의 '전사확인서'를 받았다.

정 병장은 지난 1979년 12월 12일 신군부가 일으킨 반란 당시 육군본부 지하벙커 초소에서 근무하던 중 반란 세력에 가담한 1공수여단에 의해 숨졌다.

당시 순직 처리된 정 병장은 지난 3월 대통령소속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가 국방부에 요청한 '전사 재심사' 결과 최근 전사자로 재분류됐다.



국방부와 국군수도병원을 잇는 지하벙커 초소에서 근무를 서던 정 병장은 13일 오전 1시 40분께 국방부를 점령한 1공수부대원들이 총기를 빼앗으려 하자 저항하던 중 숨졌다.

그동안 정 병장은 군 인사법상 '직무수행이나 교육훈련 중 사망한 사람'인 순직자로 분류돼있었다. 이에 동창들은 '신군부의 반란에 대항하다 사망한 것으로 인정해달라'며 지난해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에 재조사를 신청했다.

재조사 결과에 따라 정 병장은 43년 만에 '적과의 교전 또는 무장 폭동·반란 등을 방지하기 위한 행위로 인하여 사망한 사람'인 '전사자'로 분류됐다.

12·12 반란 43년을 맞은 이날 정 병장의 동창들은 모교인 동신고에 모여 그를 기리기도 했다.

동창 정형윤(65)씨는 "단순 직무 도중 변을 당한 것이 아니라 정당한 지휘 체계를 지키고 나라를 수호하려다 산화한 것"이라며 "이제라도 재평가를 받게 돼 다행이다"고 밝혔다.


12·12반란군 맞서다 숨진 병장, 43년 만에 '전사' 인정 (msn.com) 


//////////////////////////


제1공수특전여단 - 나무위키 (namu.wiki)

1979년 12.12 군사반란때 전두환 신군부의 지시로 국방부와 육군본부를 점령한 역사가 있다.



제1공수 특전여단은 문 대표가 1975~1978년 특전요원으로 군 복무를 한 곳이다. 

'특전사' 문재인, 40년만에 옛 복무부대 방문 | 연합뉴스 (yna.co.kr) 


/////////////////


어우야.. 문 전대통령이 입대가 1년만 시기가 늦었었더라도 ㄷㄷㄷ..


아니면 반란이 1년 더 빨리 진행되었다면 ㄷㄷㄷ

관련자료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